• 최종편집 2025-04-04(금)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2020년 12월부터 강한 음의 북극진동*과 함께 2021년 1월 초부터는 성층권 극 소용돌이**가 평년대비 약해지는 현상(성층권 돌연승온)까지 나타나 대기 상층(약 12㎞ 상공)의 제트기류가 약해지면서 북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까지 남하하기 쉬운 조건이 형성되고 있다.


* 북극진동(Arctic Oscillation): 북극에 존재하는 찬 공기의 소용돌이가 수십 일, 수십 년을 주기로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상, 북극 온난화(음의 값)로 대기 상층(약 12km 상공)의 제트기류가 약해지면 북극 찬 공기 남하로 미국, 유럽, 동아시아에 한파 등 기온 변동성이 증가함

** 극 소용돌이(Polar Vortex): 북반구 겨울철 성층권 극지역에서 북극을 감싸고 도는 강한 서풍대를 동반한 저기압 덩어리를 의미


- 북극진동을 지수화한 것이 북극진동지수로 북극과 중위도 기압 배치에 따라 위상 변화를 보임




< 지역(65~90°N) 고도편차 연직시계열과 AO 지수 >

 



 

< 성층권 돌연승온과 음의 북극진동 모식도> 


 

 

 

< 우리나라 주변 양의 북극진동 >

 

 

 

 

< 음의 북극진동 모식도 >

 

 

 

 

이 기사를 후원하고 싶습니다.
  • 30,000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북극] 북극온난화, 제트기류 약화로 기온 변동성 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Home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블로그
  • 페이스북
  • 트위터
  • URL
기사입력 : 2021.03.08 20:25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