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6(토)
실시간뉴스

뉴스룸

  • [기후] 지구의 얼음, 더 빠른 속도로 녹아
    얼음 녹는 속도 57% 빨라져 기후 변화로 인해 지구 기온이 더 높아짐에 따라 지구상의 얼음이 1990년대 중반보다 빠르게 녹고 있다. 지난 1월 25일 The Cryosphere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1994년에서 2017년까지 총 28조 메트릭 톤의 얼음(극지방, 산악 지역, 해빙 등)이 지구에서 사라진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는 영국의 국토 전체를 100미터 높이로 덮을 수 있는 만큼의 양에 해당한다. 연간 기준으로 얼음이 녹는 속도는 30년 전보다 약57% 빨라졌으며, 특히 1994년과 2017년 기간에 65%로 더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는 전세계적으로 1990년대에 연평균 0.8조 메트릭 톤의 얼음이 감소했는데, 최근에는 연간 약 1.2 조 메트릭 톤 상당의 얼음이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위기 관련 글로벌 권위 기관인 IPCC(Iternational 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협의체)가 상정하는 기후변화에 대한 최악의 시나리오에 해당한다. 30년간 해수면 3.5cm 상승 양 극지역에 물에 떠 다니는 얼음의 양이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지상의 빙하가 많이 감소하였는데, 1994년에서 2017년 기간동안 약 6조 메트릭 톤이 사라졌다. 특히 산악지역 빙하의 감소가 두드러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지의 모든 얼음의 약 1%만에 불과한 산악지역 빙하의 감소가 연간 총 얼음 감소의 22%를 차지한다는 점이다. 산악지역의 빙하 감소는 이 지역의 물에 의존하는 현지인들의 농업을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은 식수를 빙하에 의존하는 사람들이나 폭풍으로부터 해안 주거지 보호에 겨울 해빙(海氷, 바다얼음)에 의존하는 사람들에게 국한하지 않는 문제가 되었다. 남극 대륙, 그린란드 및 산악 빙하에서 녹은 얼음으로 지난 30여년 동안 바다 물의 양이 증가하여 지구의 전체 해수면이 3.5cm 상승하였다. 연구진은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금세기 내에 해수면이 1미터 가까이 더 상승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해수면이 1cm 상승에도 저지대에 사는 100만명의 인구가 삶의 터전을 위협받을 수 있다고 한다. 얼음 감소, 온도 상승의 악순환 보고서에 따르면, 위성관측 결과 북극 지역의 해빙의 면적이 지난해에 과거 40년 동안의 여름철 가운데 두번째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더 우려스러운 점은 해빙이 녹아 사라지면 소위 얼음 아래의 '어두운 물 또는 토양'의 노출이 증대하고 이것이 태양 복사를 대기 밖으로 반사하지 않고 오히려 흡수하게 된다는 것이다. 일명 '북극 증폭(Arctic Amplification)으로 알려진이 현상으로 북극 지역의 기온이 더 높이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북극의 온난화 속도는 지난 30년 동안 지구 평균의 두 배 이상을 기록하였다. 보고서는 얼음 감소 원인의 2/3는 대기의 온난화, 1/3은 바다의 온난화 때문으로 분석했다. 북국지역 얼음 감소의 주원인은 해수면 온도의 상승 때문이고, 히말라야 등 산악지역 얼음 감소는 대기 온도의 상승 때문이다. 그린란드의 얼음 감소 원인은 해수면 온도와 대기 온도 동시 상승 때문이었다.
    • 기후
    2021-01-27
  • [기후] Greta Thunberg, "We Will Be Watching You"
    "We Will Be Watching You !" - 2019 UN 기후행동정상회의 연설 - 스웨덴 출신 16세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Greta Thunberg)는 유엔총회 일정 중 하나로 진행된 '기후행동정상회의'에서 연설을 했다. "당신들은 자녀를 사랑한다고 말하지만,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는 모습으로 자녀들의 미래를 훔치고 있다" 툰베리는 각국 정상들을 향해 "모든 미래 세대의 눈이 여러분을 향해 있습니다. 여러분이 우리를 실망시키기를 선택한다면, 우리는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고 경고하고 "전 세계가 깨어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좋아하든 아니든, 변화는 다가오고 있습니다."며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 출처 : 환경부
    • 기후
    2021-01-24
  • [해양] 지구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기록
    멈추지 않는 해수면 온도 상승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US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의 보고서는 2020년 지구 해수면의 기온이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의 가속로 인해 지난 한해 20 제타 줄(20,000,000,000,000,000,000,000 joules) 만큼의 열이 지구 해양으로 흡수되어 해수면 온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 제타 줄은 히로시마 원폭이 1년 동안 매 초마다 10개가 만들어 내는 정도의 에너지에 해당 한다고 한다. ※ 원자폭탄의 위력은 일정 중량의 TNT가 폭발하면서 방출하는 에너지량으로 환산한다. 즉 1KT라고 하면 TNT 1천 톤을, 1MT급이라고 하면 TNT 100만 톤을 한번에 폭발시킨 정도의 위력이며,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폭발력은 15KT 즉 15,000톤의 위력에 해당한다. 전 지구적 해수순환의 마비 대기중 열을 가두는 온실가스의 농도가 증가하여 지구의 자연적 에너지 흐름이 방해 되고 있다. 이 과도한 열의 90% 이상이 해양에 흡수되어 해양에서 열팽창이 발생함에 따라 'OHC(Ocean Heat Content,해양 열 함량 )가 높아지며 결국 해수면 온도 상승, 빙하 감소, 해수면 상승 등으로 이어진다. 열팽창 현상이 해수면 상승의 최대 원인이다. 중동 및 인도와 관련된 북인도양의 OHC가 2000년경 이후 상승한 이유는 부분적으로 태평양에서 유입되는 열팽창 때문이다. 1990년 중반 이래 해수면의 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다. OHC는 수치는 지구온난화를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지표이다. OHC가 1986~2020년 기간(9.1 ± 0.3 ZJ yr−1) 동안 이전 1958년~1985년 기간(1.2 ± 0.6 ZJ yr−1) 보다 연평균 증가량이 8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다가 지구의 기후를 조절하는 기능이 통제 불가능한 수준에 도달한 것이다. 바다가 지구의 기후룰 조절하는 방법은 전 지구적인 해수 순환을 통해서다. 뜨거운 열대지방의 바닷물이 극지방으로 이동하고 차가운 극지방의 바닷물을 열대지방으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그 결과 지구의 각 지역간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해수순환의 속도가 급격해지거나 느려지면 지역간 해수 순환의 마비되어지구적 기후변화로 이어진다. 바다는 흡수한 열을 다시 대기 중으로 내보내게 되며 이는 전세계적 극단적 기상 현상(폭염, 폭우, 홍수, 초대형 강풍 등)으로 나타난다. 해수 온도 상승은 바다 생태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호 백화 현상(Coral Bleaching)은 해양 수온 상승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보고서는 일례로 알래스카만에 서식하는 성숙한 산란 가능 대구의 개체수가 2014년부터 2017년사이 절반으로 감소하였다고 설명한다. 2배 빠른 호주 해수면 온도 상승 특히 호주 남동부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균보다 2배 가까이 빠르게 더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이 지역은 2016년 이래 최근 5년간 관측이래 가장 길고 가장 강렬한 해양 폭염 현상이 발생했다. 호주 지역의 평균 해수면 온도는 1900년대 들어 섭씨 1도 이상 상승 하였다.
    • 기후
    2021-01-08
  • [가뭄] 중세온난기 가뭄, 현재 기후변화와 유사
    중세 온난기에서 소빙기로 전환되는 시기에 이어서 유럽은 1302~1307년 사이에 심한 가뭄을 겪었다. 이후 습하고 추운 시기로 인해 1315년에서 1321년의 사이에 유럽에서는 대기근이 발생하였다. 중세초 기상패턴이 현재 기상 이변과 유사 최근 Climate of the Past 저널에 따르면, 1302~1307년 사이의 기상 패턴이 유럽 대륙이 이상 고온과 가뭄을 겪었던 지난 2018년의 기상 이변과 유사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세와 최근의 기상패턴 모두 북극의 온난화 증가로 인해 1980년대 이후 자주 발생하는 기상 패턴과 유사하다고 한다. 1302~1307년과 2018년의 기후를 비교한 결과 가뭄, 기후변화는 과도기 단계에 항상 낮은 변동성을 보이며 장기간 안정적인 기후 패턴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급격한 기후변화가 대기근과 흑사병 초래 14세기 유럽 대기근(1315-1321)은 지난 천년 동안 가장 큰 전유럽의 기근으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몇 년 후 가장 파괴적인 대유행병인 흑사병(1346-1353)이 발생하여 인구의 약 1/3이 사망했다. 중세 암흑기 대기근과 흑사병 이 두 가지 위기에 1310년 이후의 급격한 기후변화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1310년대는 상대적으로 고온의 시기인 중세 이상 고온 기후에서 기온이 낮아지고 빙하가 진행되는 소빙기까지의 과도기 단계에 해당한다. 1302년 여름은 중부 유럽에서 여전히 매우 많은 비가 내렸지만, 1304년부터는 덥고 매우 건조한 여름이 여러 차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후 역사 관점에서 볼 때 이것은 13세기와 14세기에 걸쳐 발생한 가장 심한 가뭄이었다. 당시 중동에도 심각한 가뭄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는데, 나일강의 매우 낮은 수위가 하나의 증거이다. 이 사실은 1304~1306년 동안의 가뭄이 일부 지역에 국한되는 현상이 아닌 유럽 및 중동 지역에 광범위하게 발생한 것임을 보여준다. 또한, 지속된 기간으로 볼때 13세기와 14세기를 기준으로 볼 때 세기에 한 번 발생하는 사건에 해당한다. 2018년의 '강수 시소' 현상 2018년의 가뭄 및 이와 유사한 기상이변 기간에는 일반적으로 일명 '강수 시소(seesaw)' 현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한 지역에서 극도로 높은 강수량이 나타나는 반면 다른 지역에서는 극도로 낮은 강수량을 기록하는 매우 대조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기상 용어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한 영역에 비정상적으로 오랫동안 남아있는 안정된 고압 및 저압 영역으로 인해 발생한다. 1302~1304년 사이 알프스 남부지역, 1304~1307년 사이 알프스 북부의 매우 건조한 여름은 안정된 기상 조건과 서로 이질적으로 분포된 강수량의 결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8년의 경우, 북대서양과 남유럽에 매우 안정된 저기압이 오랫동안 자리하여 이 지역에는 폭우가 발생하는 반면 중부 유럽에는 극심한 가뭄이 발생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가뭄과 도시 화재 사이의 눈에 띄는 유사성이 있는 것을 나타났다. 1302년에서 1307년 사이에 발생한 화재 기록 가운데, 1304년 6월 10일 피렌체에서는 1,700 채가 넘는 집이 화재로 불에 탔던 것으로 나타난다.
    • 기후
    2021-01-08
  • [삼림] 아마존 삼림 파괴, 과거 12년 중 최고치 기록
    최근 영국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브라질의 아마존 밀림이 벌채로 파괴되어 지난 12년 가운데 최고치를 기록 했다. 아마존 '19년 대비 9.5% 더 많이 파괴 브라질 국립 우주연구기관인 INPE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세계에서 가장 큰 열대 우림의 파괴는 2019 년에 비해 9.5 % 증가한 11,088 제곱킬로미터 증가했다. 정부의 반환경 정책으로 인해 브라질의 삼림은 기후 변화에 관한 국가 목표에서 설정한 2020년 목표치보다 3배 가까이 더 많이 사라지고 있다. 환경운동가들과 과학자들은 산림개발과 훼손의 책임이 보우소나로 대통령에게 있다고 주장한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취임 이후 환경 정책이 퇴보하면서 산림 파괴가 가속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광산업체, 가축 목장주, 불법 벌목꾼들이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생물 다양성 지역이자 수많은 원주민의 삶의 터전으로 열광적으로 이끈 주범이라는 것이다. 아마존 밀림의 전체 17% 수준이 훼손, 임계점에 근접 아마존 밀림의 훼손이 20% 수준을 넘어서면 더 이상 회복 불가능한 상황이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설상가상으로 벌채만이 문제가 아니다. 기후변화와 산불이 밀림의 파괴에 기름을 붓고 있는 상황이다. 열대우림과 우림에 서식하는 생명체들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으며, 물자원의 순환이 악화되어 남미의 사람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벌채로 인한 기후변화가 일어나면, 아마존의 50%에 해당하는 지역이 사바나 지역, 즉 나무가 없는 대초원으로 전락할 것이라고 한다. 지난 50여 년간 아마존의 밀림 훼손이 전체의 17%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한다. 아마존 밀림이 재생 불가능한 수준으로 되는데 불과 3%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아직 기회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인류가 올바른 방향으로 개입한다면 파국은 막을 수도 있어 보인다. 그러나 이미 발생한 훼손의 정도와 속도를 감안하면 매우 어려운 과제로 보인다. 한편, WWF(세계자연기금)는 지구의 허파인 아마존의 산림 훼손이 현재의 속도로 지속될 경우 2030년까지 전체 밀림의 27%가 소멸할 것으로 전망했다.
    • 기후
    2021-01-07

기후
더보기

더보기

[산불] 3월 경북·경남·울산 산불 366만톤 탄소 배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3월 21일부터 30일까지 경북·경남·울산 등에서 발생한 산불로 약 366만 톤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 이하 ‘톤CO2eq’를 ‘톤’으로 약칭하여 표기 산불이 발생하면 나무의 잎과 가지가 불에 타면서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데, 이러한 배출량은 산불 피해 면적 및 산림의 양을 바탕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이번 산불로 인한 잠정 산불영향구역은 48,239ha로, 산불 발생으로 인해 이산화탄소(CO2) 324.5만 톤, 메탄(CH4) 27.2만 톤, 아산화질소(N2O) 14.3만 톤으로, 총 366만 톤이 배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 (발화지점 기준) 피해면적 (㎥) 온실가스배출량 (tCO2eq) 경북 의성/안동/청송/영덕/양양 5,327,606 3,425,518 경남 산청/하동/김해 230,650 148,302 울산 언양/온양 117,272 75,403 충북 옥천 4,673 3,005 전북 무주 10,972 7,055 합계 5,691,173 3,659,283 이는 현재까지의 잠정 산불영향구역을 바탕으로 추산한 것으로, 산불피해지 조사를 통해 피해 면적과 산림의 양이 증가하면 온실가스 배출량도 늘어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 366만 톤은 2022년 기준 산림에서 흡수한 온실가스 순흡수량 3,987만 톤의 약 9.2%에 해당하며, 이는 중형차 약 3,436만 대가 서울과 부산을 왕복(800km)할 때 배출하는 양과 동일하다. * 산불 배출량 366만 톤 = 중형차 1대당 800km 이동 시 배출량 약 107kg(공공데이터포털) X 3,436만 대 산불이 발생하면 대기 중으로 많은 양의 온실가스가 즉각 배출되므로 산불 예방에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더보기

[GHG]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개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개요 1. 개념 : 국가가 업체별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배출권)을 설정‧할당하고 배출권 여유 및 부족 업체간 거래를 허용 * 1차(’15~‘17), 2차(’18~‘20) 계획기간을 거쳐 현재 3차(’21~‘25) 계획기간 진행 중 2. 근거 :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12.11월 시행) 3. 대상 : 69개 업종, 684개 업체(사전할당 기준)* →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73.5% *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 12.5만t 이상 업체 또는 2.5만t 이상인 사업장 보유 업체 4. 할당 :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연도별 목표를 기준으로 국가의 배출량 중 배출권거래제 비중을 적용하여 배출허용총량 설정 * 3차 계획기간 배출허용총량 : 30억 4,826만톤, 유상할당 비율 : 10%(41개 업종) ㅇ 과거 배출량, 배출효율 등을 기준으로 계획기간 배출권 사전할당, 계획기간 중 신‧증설 등은 추가할당*, 폐쇄 등은 할당취소* * (추가할당) 시설의 신‧증설, 다른 법률에 따른 의무 준수(제약발전) 등(할당취소) 시설의 가동중지‧폐쇄, 할당대상업체의 파산 및 지정취소 등 5. 거래 : 증권시장과 유사한 거래 시스템 구축(운영 : 한국거래소) * (거래량) 566만톤(’15) → 8,994만톤(‘23), (거래가격) 1만원/톤 수준 유지 중 ㅇ 할당대상업체 외에 시장조성자(7개사), 증권사(21개사) 참여 허용(’21~) 6. 정산 : 전년도 배출량 확정(5월) 후 이에 상응하는 배출권 제출(8월) * 배출권 미제출 시 시장가격의 3배 수준의 과징금 부과 ㅇ 감축 유연성 확보를 위해 이월, 차입, 상쇄* 등 업계 이행 지원 * 할당대상업체는 업체의 생산활동 외 영역에서의 감축사업을 통해 발생한 온실가스 감축량을 배출권(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하여 사용 가능(최대 전체 배출량의 5%) [주요 용어] ○ 할당대상업체 :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정기준* 이상인 업체 또는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받기 위하여 신청한 업체 *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25,000톤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톤 이상인 사업장의 해당 업체 ○ 배출허용총량 : 할당대상업체가 계획기간 동안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총량으로, 배출권거래제에서 관리되는 목표배출량 ○ 배출권 : 배출허용총량 범위 내로 개별 할당대상업체에 할당되는 배출허용량. 온실가스 배출권은 연도별로 설정되어 있으며, 배출권 정산 시 ‘(예)2024년도 배출량’ 만큼 ‘2024년도 배출권’을 제출하여 정산 * KAU(Korean Allowance Unit, 할당배출권) : 할당대상업체에 할당하는 배출권, KCU(Korean Credit Unit, 상쇄배출권) : 외부사업 인증실적에서 전환된 배출권 ○ 계획기간 : 온실가스 배출업체에 배출권을 할당하고 그 이행실적을 관리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기간 (1차 계획기간 ‘15~’17, 2차 계획기간 ‘18~’20, 3차 계획기간 ‘21~’25) ○ 유상할당 : 정부가 배출권을 경매의 형태로 기업에 유상으로 배분하는 방식 ○ 시장안정화예비분 : 배출권 거래시장의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배출권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한 예비분 ○ 탄소누출업종 : 온실가스 다배출업종으로서, 국내 온실가스 규제가 강화될 경우 규제가 약한 타국으로 사업장을 이전할 우려가 있는 업종 ○ 배출효율기준(Benchmark, BM) 할당방식 : 동일·유사한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간의 효율을 비교하여, 우수한 효율을 가진 공정에 유리하도록 배출권을 할당하는 방식 ○ 간접배출 :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나 열을 사용함으로써 배출되는 온실가스 ○ 비용발생도*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로 인한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 * (해당 업종의 기준기간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 × 기준기간의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 ÷ 해당 업종의 기준기간 연평균 부가가치 생산액 ○ 탄소집약도* : 에너지 생산이나 경제활동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탄소가 배출되는지 측정하는 지표 * 해당 업종의 기준기간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 ÷ 해당 업종의 기준기간 연평균 부가가치 생산액 ○ 지표 배출권 : 특정 이행연도로 활용 기한이 정해진 배출권 * 예. 2024년 배출권 (KAU 24) 등

더보기

더보기

더보기

더보기

더보기

더보기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