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6(토)
실시간뉴스

뉴스룸

  • [4월25일] 기후 위기로 흔들리는 펭귄의 일상
    4월 25일은 ‘세계 펭귄의 날’이다. 황제펭귄은 남극의 겨울이 시작되는 시기, 바다가 얼기 전 북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데, 미국 맥머도(McMurdo) 남극기지 인근에서 자주 관측되는 점에 착안해 제정된 기념일이다. 기후 위기와 서식지 파괴로 점점 사라져가는 펭귄을 보호하고, 그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정됐다. 남극을 대표하는 황제펭귄은 현재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에서 ‘준위협종(Near Threatened)’으로 분류돼 있으며, 주요 위협 요인은 기후변화와 어업 활동이다. 기후변화로 인해 해빙이 줄어들며 주요 서식지가 사라지고 있어 황제펭귄의 번식과 생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WWF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시민과학 이니셔티브 ‘펭귄 워치(Penguin Watch)’와 시민과학 플랫폼 ‘쥬니버스(The Zooniverse)’와 협력해 펭귄 개체 수와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해양보호구역(MPA) 지정과 지속 가능한 어업 관리 등 다양한 보전 활동을 이어가며, 펭귄의 서식지와 먹이 자원을 보호하고 있다. 먹이 찾아 50km, 알 품고 2개월…기후 위기로 흔들리는 펭귄의 일상 황제펭귄은 키가 약 115cm에 달하는 펭귄 중 가장 큰 종으로, 짝을 이루면 평생 함께하며 번식과 육아를 함께 책임진다. 암컷은 알을 낳은 뒤 바다로 나가 최대 50km를 이동해 물고기, 오징어, 크릴 등을 사냥하고 새끼를 위해 다시 돌아온다. 그 사이 수컷은 알을 발 위에 올려 ‘육아 주머니(brood pouch)’라고 불리는 깃털로 덮인 피부로 감싸 알을 따뜻하게 유지한다. 이 두 달간 수컷은 먹지 않고, 영하 수십 도의 추위 속에서 알을 지킨다. 부화 후에는 암컷이 위 속에 저장한 먹이를 토해 새끼에게 먹이며 육아를 이어가고, 수컷은 다시 먹이를 찾아 바다로 떠난다. 여름이 찾아오는 12월, 해빙이 갈라지며 바다가 드러나고, 어린 펭귄들은 바다로 나아갈 준비를 마친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해빙이 녹으면서 황제펭귄의 번식지와 먹이 사냥터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황제펭귄의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으며, 이는 번식 실패로도 이어지고 있다. 사냥도, 허들링도… 남극에서 사라지는 황제펭귄의 생존 기술 남극의 혹독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황제펭귄은 수중에서 평균 200m, 최대 565m까지 잠수하고 20분 넘게 머물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잠수 조류다. 사냥 능력과 집단 생존 전략 등 다양한 적응 기제를 발휘하며 수천 년간 남극의 극한 자연에 적응해 살아왔지만, 해빙의 감소로 주요 먹이인 크릴과 오징어가 줄어들면서 생존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 황제펭귄은 남극 생태계의 먹이사슬 중간 단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개체 수가 최대 50%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황제펭귄은 ‘허들링(huddling)’이라는 독특한 방식으로 군집을 이뤄 체온을 유지한다. 영하 50도의 추위 속에서 수천 마리의 펭귄이 서로 몸을 밀착해 체온을 유지하고, 돌아가며 무리의 안쪽으로 들어가 몸을 따뜻하게 만든다. 이렇게 밀착하며 체온을 유지하는 방법은 극한의 환경에서 중요한 생명 유지 수단이다. 하지만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개체 수가 줄어들면서, 충분한 수의 펭귄이 모여 허들링을 유지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이는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생존 전략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다. * 자료 : WWF(세계자연기금)
    • 기후
    2025-04-26
  • [GCCA] Carbon Ratings for Cement and Concrete launches
    The Global Cement and Concrete Association (GCCA) announces the launch of Low Carbon Ratings (LCR) for Cement and Concrete - a first-of-its-kind transparent global rating system that will enable cement and concrete to be identified based on their carbon footprints. The ratings system is designed to help customers prioritise sustainability when selecting construction materials by using a clear and intuitive AA to G scale. Inspired by well-known appraising schemes such as the EU’s Energy Performance Certificates and the US Home Energy Rating System, the LCR offers a simple, transparent, and adaptable tool that helps builders, architects, governments, planners, and consumers everywhere in the world to make more informed and sustainable choices. The ratings system is designed to be easily recognisable - with a simple visual graphic that clearly indicates a product’s rating. The carbon rating system for cement and concrete provides consistency and comparability. Countries can adopt the global ratings as they are, or adapt them if local carbon accounting differs from global norms. Riccardo Savigliano, Chief, Energy Systems and Decarbonization Unit, UNIDO said: “This is a huge step forward towards harmonizing global definitions for low emission cement and concrete in the support of decarbonization.” With notable construction projects already demonstrating the use of lower carbon cement and concrete, the industry is making important progress. The launch of this global rating system marks another milestone on the road to greater sustainability. The rating system is designed to be used with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s (EPDs) - which by definition are third party verified. The rating system uses numerical definitions in units of embodied carbon dioxide equivalent per tonne for cement and per cubic metre of concrete product (ECO2e /m3), also referred to as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as calculat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s (EPDs) standards. These product definitions for “low carbon” and “near zero” carbon emissions were inspired from cement production definitions by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and the GCCA 2050 Cement and Concrete Industry Roadmap for Net Zero Concrete. The GCCA cement rating system can be adopted and applied in countries. Germany already provides a working example. The German Federal Ministry for Economic Affairs and Climate Action and VDZ (German Cement Association) developed a scheme that is fully aligned with the GCCA system and this is already implemented. The GCCA worked with the Clean Energy Ministerial Industrial Deep Decarbonisation Initiative (IDDI) and stakeholders to create a set of globally applicable definitions for concrete. These are ready to use in the vast majority of countries. If a country has a different practice for product carbon accounting, then adaptation of the ratings can be done. This has already been completed in the UK. The GCCA cement and concrete ratings can be used with national and local baselines and targets to support low carbon procurement.
    • 탄소
    • 산업
    2025-04-26
  • [커피캡슐] 네스프레소-우체국, 1회용 커피캡슐 우편회수 협력
    커피캡슐 시장 1위 업체*의 참여로 전국 우체국망(우체통)을 활용한 알루미늄 커피캡슐 회수 체계 규모가 크게 확대된다. 환경부(장관 김완섭)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본부장 조해근)는 지구의 날(4월 22일)을 맞아 네스프레소 한국지사(지사장 박성용)와 ‘우편서비스를 활용한 알루미늄 커피캡슐 회수 사업 업무협약’을 4월 2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8동 회의실에서 체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내달(5월) 9일부터 국제적인 커피 브랜드인 네스프레소의 커피캡슐도 우체국망을 통해 회수할 수 있게 됐다. 이날 협약에 앞서 환경부와 우정사업본부는 알루미늄 커피캡슐에 대한 새로운 회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해(2024년) 7월 동서식품과 협약을 맺고 이 회사의 커피캡슐(카누 바리스타) 수거를 진행한 바 있다. 우체국망을 활용한 알루미늄 커피캡슐 회수체계에 새로 참여하는 네스프레소는 국내 커피캡슐 판매시장 1위를 선점하고 있는 기업이다. 이 기업의 커피캡슐도 전국 우체국망을 통해 수거가 가능해지면 소비자의 배출 편의 향상과 함께 올바른 자원순환 체계도 확립될 것으로 기대된다. 협약에 따라 네스프레소는 자사의 기존 회수 방법 외에도 우체국 창구 등을 통한 새로운 배출 요령을 소비자에게 안내할 계획이다. 우정사업본부는 우체국망을 활용한 커피캡슐 회수의 효율화 및 확대에 노력할 예정이며, 환경부는 행정 지원 및 제도 정비에 나설 방침이다. 네스프레소 알루미늄 커피캡슐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4월 말부터 네스프레소 공식 웹사이트(nespresso.com)에서 온라인 구매 시 우편회수봉투를 함께 신청할 수 있다. 사용한 알루미늄 커피캡슐을 우편회수봉투에 담아 전국 3,300여 개 우체국 창구에 5월 9일부터 제출하면 된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우체국 창구 외 우정사업본부가 도입 중인 ‘에코(ECO) 우체통’을 통해서도 회수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 우편서비스를 활용한 재활용 과정 > 소비자(신청) 소비자(배출) 우체국(배달) 재활용업체 네스프레소 캡슐커피 온라인 구매 시 우편회수봉투 신청 우편회수봉투에 사용한 커피캡슐을 담아 봉함, 우체국 창구등에 제출 커피캡슐 우편물을 재활용업체로 배달 커피 박과 알루미늄캡슐을 자동분리하여 재활용 우체국은 소비자들로부터 건네받은 알루미늄 커피캡슐 우편물을 네스프레소의 재활용센터로 배달하게 되며, 재활용센터는 커피 박(찌꺼기)과 알루미늄을 자동 분리하는 등 재활용 공정에 따라 안전하게 처리를 한다. 환경부는 이번 협약을 통해 알루미늄 커피캡슐 등의 일회용 폐자원도 고품질의 재활용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자원이라는 국민 인식 제고와 다양한 회수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회수·재활용 등에 대한 순환이용률과 배출편의성 등에 대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검증해 평가할 예정이다.
    • 탄소
    • 순환경제
    2025-04-26
  • [수소] 제주도 ‘2025년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 추진
    제주특별자치도가 4월 22일 업무협약을 맺고 ‘2025년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 환경부(총괄기관) : 국고보조금 지급과 사업비 평가 및 정산 등 한국환경공단(전담기관) : 사업 진도 점검과 평가, 과제 성과 관리 등 제주특별자치도(주관기관) : 사업 수행과 추진현황 보고, 안전관리 등 이 사업은 가축분뇨, 음식물류 폐기물 등 유기성 폐자원을 처리(미생물로 분해)할 때 나오는 바이오가스(메탄+이산화탄소)를 순도 95% 이상의 메탄(메테인)으로 정제(고질화*)한 후 이를 전환(개질화**)하여 수소를 생산한다. * 바이오가스 내 이산화탄소(40%)를 제거하여 메탄 순도를 95% 이상으로 향상 ** 정제한 메탄을 수소로 전환(메탄 CH4 + 수증기 2H2O → 수소 4H2 + CO2)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 광역 음식물류폐기물 자원화시설(제주 서귀포시 색달동 소재)에서 발생하는 하루 4,000Nm3의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2027년부터 수소승용차 하루 약 100대를 충전할 수 있는 수소 500kg을 생산할 계획이다. ㅇ (사업내용) 제주 광역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시설의 미이용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청정수소 생산시설을 설치 ㅇ (사업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 산6 (음식물폐기물 자원화시설) ㅇ (총사업비) 130억원 (국비 91억원 70%, 도비 39억원 30%) ㅇ (사업기간) ‘25년 ~ ‘26년 ㅇ (사업규모) 500㎏/일 청정수소 생산시설 (수소승용차 100대/일 충전 가능) ㅇ (사 업 자) 제주특별자치도 ※ 지자체 보조사업 ㅇ (주요내용) 바이오가스(4,000N㎥/일) 고질화 및 개질화 설비 * (고질화 설비) 64% 메탄을 98%로 정체하는 200㎥/시간 고질화 설비 (개질화 설비) 98% 메탄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500㎏/일 개질화 설비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사업’은 수소차 보급을 확대하고자 수송용 수소의 안정적 공급과 지역 자립형 수소 생산을 높이기 위해 2023년부터 매년 2곳씩(공공 1곳, 민간 1곳) 수소 생산시설의 설치를 지원*한다. * 총 사업비 130억원 이내에서 공공은 70%, 민간은 50% 국비를 지원 환경부는 지난해까지 국비 약 288억 원을 지원하여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시설 4곳*의 설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2026년부터는 일부 시설이 완공되어 본격적으로 수소가 생산될 예정이다. * 공공 부문: (보령시) ‘23~’25년 국비 84억원 / (영천시) ‘24~’25년 국비 91억원 민간 부문: (현대자동차) ’23~‘25년 국비 50억원 / (에코바이오홀딩스) ‘24~’25년 국비 63억원 아울러 매년 신규 수소 생산시설 2곳을 지원하여 2030년까지 하루 약 6,000kg의 수소가 생산되어 수소차 충전 편의성도 점진적으로 개선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2025년도 바이오가스 기반 청정수소 생산사업’의 공공 부문 사업자로 제주특별자치도를 선정하고, 내년(2026년)까지 91억 원(총 사업비 130억 원의 70%)의 국비를 지원한다.
    • 신재생e
    • 수소
    2025-04-23
  • [영화] 2024년 서울국제환경영화제 탄소 38.1톤 배출
    환경재단이 주최하는 서울국제환경영화제가 국내 영화제 최초로 탄소 측정, 감축, 상쇄 계획을 포괄하는 ‘탄소중립 영화제’로 운영되며 국내 문화 행사의 지속 가능성 기준을 새롭게 제시한다. 환경재단(이사장 최열)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2024년 개최된 제21회 서울국제환경영화제의 탄소 배출량 산정 결과와 상쇄 계획을 공개하고, 국내 최초 탄소중립 영화제 실현을 위한 ‘2030 넷제로(Net Zero) 전략’을 수립해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제21회 영화제 탄소 배출량 38.1톤… 방글라데시 맹그로브 숲 조성을 통해 상쇄 환경재단은 제21회 서울국제환경영화제에서 국내 최초로 행사 전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고, 행사 운영 단계별 감축 노력과 상쇄 방안을 체계적으로 실행해왔다. 2024년 6월 5일부터 7월 14일까지 운영된 서울국제환경영화제의 총 탄소 배출량은 38.1톤(3만8101kgCO₂e)으로 집계됐다. 전체 배출량의 80%(3만390kgCO₂e)는 1만995명의 관객 및 관계자 이동 과정에서, 나머지 20%(7711kgCO₂e)는 전력 사용과 식음료 제공 등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환경재단은 행사 전반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온라인 상영 확대 △대중교통 이용 유도 △지역 분산형 운영 △에너지 고효율 장비 도입 △친환경 소재 제작물 활용 △홍보물의 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감축 방안을 적용했다. 또한 영화제에서 발생한 탄소를 상쇄하기 위해 세계 최대 맹그로브 서식지인 방글라데시 순다르반 지역에 총 570그루의 맹그로브를 식재할 계획이다. 이번 식재는 생태계 복원력을 고려한 세 가지 수종(A. officinalis 180그루, E. agallocha 170그루, R. mucronata 220그루)으로 구성되며, 묘목을 심어 성장과 동시에 탄소 흡수를 유도하는 방식으로 조성된다. 성체 기준 연간 39.5톤(3만9560kgCO₂e)의 탄소 흡수 효과가 기대되며, 성장 기간에 따라 실질적인 상쇄는 약 6~7년에 걸쳐 이뤄질 예정이다. 이는 영화제 탄소 배출량(38.1톤)을 100% 상쇄하는 규모로, 해양 생태계 복원과 자연 기반 지속 가능성 향상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2030 넷제로 전략’ 및 실천 체크리스트 도입 환경재단은 탄소중립 영화제 실현을 위한 ‘2030 넷제로 전략’을 수립했다. 2030 넷제로 전략은 참여(Engagement),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 행동(Action)이라는 세 가지 원칙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 상영을 위한 핵심 지표 및 가이드라인 수립 △탄소 배출 측정 및 공개 체계 도입 △시민·관객 참여형 ‘그린 리워드’ 프로그램 운영 △친환경 인프라 구축 및 시스템 고도화 △지속 가능 투자 모델 마련 등 9대 중점 과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이와 함께 행사에 즉시 적용 가능한 행동 지침인 ‘지속 가능 상영을 위한 체크리스트’도 도입했다. 체크리스트는 거버넌스, 에너지, 교통, 식음료, 폐기물, 물·위생, 참여 등 7개 영역으로 구성되며, 에너지 절감형 조명 사용, 다회용 용기 도입, 지속 가능 식재료 활용, 저탄소 교통수단 유도 등 실천 가능한 항목 중심으로 포함됐다. 이 기준은 향후 문화예술 분야 전반의 지속 가능성 점검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2004년 시작돼 올해 22회를 맞은 서울국제환경영화제는 세계 3대 환경영화제이자 아시아 최대 규모의 환경 전문 영화제다. 매년 국내외 환경 이슈를 다룬 우수작을 소개하며 기후 위기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제22회 서울국제환경영화제는 ‘Ready, Climate, Action!’을 주제로 오는 6월 개최되며, 영화를 통해 행동을 촉구하고 연대하는 지속 가능한 문화 축제를 선보일 예정이다.
    • 문화
    2025-04-22
  • [시티] LG CNS, 뉴욕 전기차 충전소, 호건스빌 스마트폴 구축
    AX전문기업 LG CNS가 스마트시티 기술로 미국 뉴욕시와 조지아주 호건스빌시에 연이어 진출하며 글로벌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미국 공공시장에서의 첫 계약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뉴욕 브루클린에 전기차 충전소(EVC) 및 에너지 관리를 위한 관제 시스템 구축 LG CNS는 최근 뉴욕시 경제개발공사와 ‘전기차 충전소(Electric Vehicle Charger, EVC) 및 관제 시스템 구축 파일럿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뉴욕시 산업단지인 ‘브루클린 아미 터미널(Brooklyn Army Terminal)’의 전기차 충전소 구축 및 운영을 위한 것이다. ‘브루클린 아미 터미널’은 기업들이 제품 및 서비스 상용화 전, 실제 환경에서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뉴욕시의 스타트업 허브다. LG CNS는 2023년 11월 뉴욕시와 ‘DX 파트너십 MOU’를 통해 이번 사업에 참여하게 됐으며, 브루클린 아미 터미널에 전기차 충전소와 함께 실시간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충·방전 관제 시스템, 앱 등을 구축해 운영한다. 사용자는 앱을 통해 충전 상태 확인과 충전소 예약, 충전소 내 실시간 빈 자리 확인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LG CNS는 IoT 기술 기반으로 공장이나 건물 내에 있는 다양한 설비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자체 스마트시티 플랫폼 ‘시티허브 빌딩’을 관제 시스템으로 활용한다. 이는 각종 센서의 원격 제어를 통한 시설물 고장 여부나 건물의 전력 사용량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건물 내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디지털 콘텐츠 운영도 가능하다. LG CNS는 이번 계약을 기반으로 향후 뉴욕시에 레벨3에 해당하는 초급속 충전기와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등을 공급하는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뉴욕시가 추진하는 ‘녹색경제 시행계획(Green Economy Action Plan)’의 일환으로, LG CNS는 스마트시티 사업역량을 인정받아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시범 사업에 참여하게 됐다. LG CNS는 뉴욕시와 이번 사업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 분야에서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LG CNS, 조지아주 호건스빌에 스마트폴 및 관제 시스템 구축 LG CNS는 조지아주 호건스빌(Hogansville)시와도 스마트 가로등(Smart Pole) 및 관제 시스템 구축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본 사업을 통해 LG CNS는 스마트 가로등 및 관련 인프라를 호건스빌 중심가와 공원 등에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스마트 가로등은 신호등이나 가로등에 IoT 기능을 결합한 도시기반시설이다. 조명 제어기능, 공공 와이파이, AI CCTV, 환경 감지 센서 등 스마트시티 기술이 적용된다. 이를 통해 교통상황 및 공공 안전 모니터링, 각종 도시 데이터를 취합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에 구축되는 관제 시스템은 여러 대의 스마트 가로등을 제어하며, LG CNS의 스마트시티 플랫폼 ‘시티허브 빌딩’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LG CNS는 스마트 가로등에 기본적인 IoT 기능을 포함해 전기차 충전기와 디지털 사이니지, 비상 호출 버튼도 설치한다. 비상 호출 버튼은 공공 치안과 긴급 상황 대처를 위해 경찰서 등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호건스빌 시민의 편의와 도시 안전을 한층 강화한다. LG CNS는 이번 사업을 시작으로 라그랑주(LaGrange), 웨스트포인트(West Point) 등 조지아주의 인근 도시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LG CNS CEO 현신균 사장은 “미국에서의 스마트시티 인프라 구축사업은 LG CNS가 축적한 DX 역량과 노하우를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좋은 사례”라며 “앞으로 미국 내 친환경 스마트시티 인프라를 확대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는데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 Business
    • 기업
    2025-04-18
  • [Ship] IMO Tightens CO2 Emissions for Ships at MEPC 83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achieved another important step towards establishing a legally binding framework to reduc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ships globally, aiming for net-zero emissions by or around, i.e close to 2050.  The IMO Net-zero Framework is the first in the world to combine mandatory emissions limits and GHG pricing across an entire industry sector.  Approved by the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during its 83rd session (MEPC 83) from 7–11 April 2025, the measures include a new fuel standard for ships and a global pricing mechanism for emissions. These measures, set to be formally adopted in October 2025 before entry into force in 2027, will become mandatory for large ocean-going ships over 5,000 gross tonnage, which emit 85% of the total CO2 emissions from international shipping.  Closing the meeting, IMO Secretary-General Mr. Arsenio Dominguez commended the spirit of cooperation and commitment demonstrated by Member States this week. He stated: “The approval of draft amendments to MARPOL Annex VI mandating the IMO net-zero framework represents another significant step in our collective efforts to combat climate change, to modernize shipping and demonstrates that IMO delivers on its commitments. “Now, it is important to continue working together, engaging in dialogue and listening to one another, if we are to create the conditions for successful adoption.” Key elements of the IMO Net-Zero Framework The IMO Net-Zero Framework will be included in a new Chapter 5 of Annex VI (Prevention of air pollution from ships)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Pollution from Ships (MARPOL). MARPOL Annex VI currently has 108 Parties, covering 97% of the world’s merchant shipping fleet by tonnage, and already includes mandatory energy efficiency requirements for ships. The goal is to achieve the climate targets set out in the 2023 IMO Strategy on the Reduction of GHG Emissions from Ships, accelerate the introduction of zero and near zero GHG fuels, technologies and energy sources, and support a just and equitable transition.  Under the draft regulations, ships will be required to comply with: 1. Global fuel standard: Ships must reduce, over time, their annual greenhouse gas fuel intensity (GFI) – that is, how much GHG is emitted for each unit of energy used. This is calculated using a well-to-wake approach.  2. Global economic measure: Ships emitting above GFI thresholds will have to acquire remedial units to balance its deficit emissions, while those using zero or near-zero GHG technologies will be eligible for financial rewards.  Ensuring compliance There will be two levels of compliance with GHG Fuel Intensity targets: a Base Target and a Direct Compliance Target at which ships would be eligible to earn “surplus units”.  Ships that emit above the set thresholds can balance their emissions deficit by: Transferring surplus units from other ships;  Using surplus units they have already banked; Using remedial units acquired through contributions to the IMO Net-Zero Fund.  IMO Net-Zero Fund The IMO Net-Zero Fund will be established to collect pricing contributions from emissions. These revenues will then be disbursed to:  Reward low-emission ships;  Support innovation, research, infrastructure and just transition initiatives in developing countries; Fund training, technology transfer and capacity building to support the IMO GHG Strategy; and Mitigate negative impacts on vulnerable States, such as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and Least Developed Countries. Next steps Upon approval, the draft amendments to MARPOL Annex VI will be formally circulated to IMO Member States, followed by: October 2025 (MEPC/ES.2): Adoption of the amendments during an extraordinary sess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Spring 2026 (MEPC 84): Approval of detailed implementation guidelines.  2027: Expected entry into force, 16 months after adoption (in accordance with MARPOL articles).  Other MEPC 83 outcomes The meeting discussed a range of issues related to protecting the marine environment from shipping activities, with the following key outcomes: ○ Adoption of 2025 Action Plan to combat marine plastic litter;  ○ Progress in the review of the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 Approval of a proposal to designate the North-East Atlantic as an Emission Control Area and agreement in principle to designate two new Particularly Sensitive Sea Areas off South America’s Pacific coast; ○ Approval of the draft Work plan on the development of a regulatory framework for the use of Onboard Carbon Capture Storage systems (OCCS) ○ Approval of draft amendments to regulation 27 of MARPOL Annex VI regarding accessibility of the IMO Data Collection System ○ Adoption of amendments to the 2021 Guidelines on the operational carbon intensity reduction factors relative to reference lines (CII reduction factors guidelines, G3) ○ Approval of a new output to develop a legally binding framework on biofouling management, to prevent the spread of harmful invasive aquatic species
    • World
    2025-04-17
  • [해운] IMO, 5천톤 이상 선박 탄소배출 규제 강화
    4월 11일 국제해사기구(IMO)가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이하 “위원회”)에서 선박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기조치(Mid-Term Measure)를 승인했다. 이번에 승인된 중기조치 규제안에 따르면, 총톤수 5,000톤 이상의 국제항해를 하는 선박은 2027년 상반기부터 선박 연료유의 강화된 온실가스 집약도 기준을 만족해야 하며, 이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운항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에 비례한 비용을 납부하게 된다. 승인 과정에서 중기조치의 핵심요소인 ▲연료유의 탄소집약도 감축률과 ▲미달성 선박에 부과될 온실가스 배출량 톤당 비용 기준 등에 대한 국가별 입장차가 매우 컸으나, 위원회 마지막 날 회원국의 투표를 거쳐 극적으로 승인되었다. 앞으로 이 규제는 국제해사기구의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개정안에 포함되어 오는 10월 국제해사기구에서 채택된 후, 2027년 상반기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한편, 국제해사기구는 2023년 7월에 ‘2050년 국제해운 탄소중립’ 목표를 채택한 이후, 선박 온실가스 감축 회기간 작업반을 운영하는 등 국제해운 탈탄소 전환에 필요한 규제 도입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왔다. 우리나라도 그간 기술 성숙도 등 산업계의 여건을 감안하여 합리적인 수준에서 과도하지 않은 비용으로 중기조치가 도입되도록 논의에 적극 참여해왔다.
    • 정책
    2025-04-17
  • [축산] 한우 성장 및 성별 반영 메탄 배출계수 개발
    농촌진흥청이 소의 장내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을 보다 정확히 산정할 수 있도록 한우의 성장단계와 성별을 반영한 국가 고유 온실가스 배출계수 4종을 추가 개발했다. 배출계수란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활동 또는 배출원별로 발생량을 수치화한 값으로,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 산정, 감축량 평가, 탄소중립 정책 수립 등에 폭넓게 사용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제시한 기본값을 활용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있다. 하지만 축종별 성장 특성이나 실제 사육환경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어 주요 선진국들은 자국 실정에 맞는 국가 고유 온실가스 배출계수 개발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립축산과학원이 한우 장내 발효 메탄 배출계수 4종을 추가 개발하고, 환경부 산하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검증을 거쳐 지난해 12월 최종 등록을 마쳤다. 2025년부터는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번에 개발한 배출계수 4종은 △거세 한우 1~2세 △거세 한우 2세 이상 △한우 암소 1~2세 △한우 암소 1~2세 이상 장내 발효 메탄 배출계수이다. 새로 개발한 국가 고유 배출계수를 이용하면, 기존의 아이피시시(IPCC) 기본값으로 산정했을 때보다 한우 장내 발효 전체 메탄 배출량이 7%(186.7→174.0)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립축산과학원이 지금까지 개발한 축산분야 배출계수는 총 21종이다. 이 중 장내 발효 메탄 배출계수는 한우 6종, 젖소 3종, 돼지 8종을 합해 17종이며, 이 밖에도 분뇨처리 4종이 있다.
    • 탄소
    • 농축수산
    2025-04-17
  • [TV] LG전자 2025년형 올레드 TV, ‘탄소저감’ 인증
    LG전자 올레드 TV가 해외 유력 인증기관들로부터 탄소 배출 저감, 지속 가능한 자원 효율성 등 환경 관련 인증을 잇따라 획득하며, 프리미엄 TV시장의 선도기업으로서 환경 친화적인 측면에서도 앞서나간다. LG전자는 최근 프리미엄 TV의 대표주자인 2025년형 올레드 TV 신제품에 대해 영국 비영리 인증기관 카본트러스트(Carbon Trust)의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 인증을 받았다. LG전자는 2021년부터 올레드 TV 신제품에 대한 탄소발자국 인증을 5년 연속 획득했다. 카본트러스트는 제품 생산부터 유통, 사용, 폐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탄소발자국 인증을 부여한다. 2025년형 LG 올레드 TV는 G5(83/77/65/55형), C5(83형) 모델이 기존 동급 모델 대비 탄소 발생을 줄여 ‘탄소저감(Carbon Reducing)’ 인증을 획득했다. 또 LG 올레드 TV는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인터텍(Intertek)의 ‘자원효율(Resource Efficiency)’ 인증을 획득하며 제품의 지속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 인증은 ▲재료 사용 효율성(재활용 설계, 유해물질 저감, 수리 용이성 등) ▲에너지 효율성 ▲재활용 소재 사용 등 엄격한 심사 항목을 통과한 제품만 받을 수 있다. LG 올레드 TV M5·G5·C5·B5는 이번 인증을 획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환경 친화적인 설계를 인정받았다. LG 올레드 TV가 다양하고 엄격한 환경 인증 심사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한 LCD TV 대비 부품 수가 적고, 가벼운 복합섬유소재를 대거 적용했기 때문이다. 65형 올레드 TV는 같은 크기의 주요 브랜드 LCD TV보다 플라스틱 사용량은 약 60% 적고, 무게는 약 20% 가볍다. 이에 따라 LG전자가 올해 올레드 TV 제조에 사용하는 플라스틱량은 동일한 수량의 LCD TV 대비 약 1만 6천톤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플라스틱 사용이 줄면서 생산·운송 과정 등에서 배출되는 탄소량도 약 8만 4천톤이 감축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축구장 1만 1천개 면적에 해당하는 30년생 소나무 산림이 1년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 수준이다. 또한 LG전자는 지난해 올레드 TV를 포함한 전체 TV 제조에 쓰인 플라스틱 사용량 가운데 약 30%를 재생 플라스틱으로 사용했다. 이를 통해 약 6천 3백톤의 폐플라스틱 재생 효과를 거뒀다. 올해는 재생 플라스틱 사용 비율을 50% 수준으로 높여, 연간 약 7천 7백톤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전자는 국내에서도 환경 관련 인증을 통한 환경 보호를 실천하고 있다. 2025년형 LG 올레드 에보(모델명: OLED83G5) 등 총 8개의 TV 신제품은 최근 한국 E-순환거버넌스로부터 ‘E-순환우수제품’ 인증을 받았다. LG전자는 이 인증을 3년 연속 받으며 자원 순환을 고려한 제품 개발에 대한 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 Business
    • 기업
    2025-04-16
  • [W2H] 현대차, 인니 ‘자원순환형 수소(Waste-to-Hydrogen)’ 프로젝트 추진
    현대자동차그룹이 15일(현지시각)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글로벌 수소 생태계 서밋 2025(Global Hydrogen Ecosystem Summit 2025)’에서 인도네시아 정부 및 국영 에너지기업 페르타미나 홀딩스와 함께 추진 중인 ‘인도네시아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CES 2024에서 인도네시아 내 현대차그룹의 주요 생산 거점이 위치한 서부 자바주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소로 전환하는 ‘자원순환형 수소 솔루션(Waste-to-Hydrogen, W2H)’을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W2H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수처리 과정에서 생긴 침전물), 가축 분뇨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에서 발생된 메탄을 정제해 바이오가스를 만든 후 수소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지역 내 수소 생산 거점 조성을 통해 수소 운반 및 저장 과정의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수소 자원의 독립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 현대차그룹은 △충주시 음식물 바이오센터에서 진행 중인 수소 생산 실증 사업 △청주시 공공하수처리장의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청정 수소 생산 시설 구축 사업 △파주시 및 고등기술연구원과 함께 추진 중인 미니 수소도시 조성을 위한 자원순환 사업 등 국내 여러 지역에서 W2H 모델을 성공적으로 전개해 나가고 있다. 이번 인도네시아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는 현대차그룹이 해외 지역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는 첫 실증 사업이다. 구체적으로 현대차그룹은 서부 자바주 반둥시 인근 사리묵티(Sarimukti) 매립지에서 추출된 바이오가스를 활용해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사리묵티 매립지는 반둥시에서 매일 발생하는 약 1500톤의 폐기물 중 80%가 처리되는 곳으로,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 기후가 지속됨에 따라 대형 화재, 홍수, 산사태 등 자연재해가 빈번히 일어나는 지역이기도 하다. 현대차그룹은 매립지 개발 전문회사인 세진지엔이와의 협력을 통해 사리묵티 매립지를 복토해 자연재해를 예방하고, 복토를 마친 매립지에서 추출한 바이오가스를 현대로템의 수소 개질기*를 이용해 청정 수소로 변환시킨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매립지 개발을 위한 기술 타당성 조사를 완료했으며, 연내 관련 설비 착공을 목표로 서부 자바주와 협의를 진행 중이다. * 천연가스나 LPG 등의 탄화수소를 수소로 바꾸는 장치 향후 과정에서 현대차그룹은 제아이엔지,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고등기술연구원 등 국내 유수의 기관 및 기업들과 함께 구성한 컨소시엄을 통해 한국의 선진화된 수소 정책 및 안전 규정과 수소 생산/운영/충전 등에 관련된 기술을 적용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페르타미나 홀딩스가 제공한 부지에 2027년까지 수소 개질기 설치 및 수소 충전소 구축을 완료하고, 페르타미나 홀딩스 측과 수소 운반 및 수소 모빌리티 활용 등 수소 밸류 체인 전 과정에 걸쳐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아동권리 전문 NGO 굿네이버스와 협력해 식수 지원 및 보건 환경 개선 등 매립지 인근 지역 사회를 위한 사회 공헌 활동 또한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사리묵티 매립지 활용을 통한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는 수소 생산 허브를 마련하는 것을 넘어 인도네시아의 쓰레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도네시아 국가 수소 로드맵과 관련된 주요 사례 중 하나로 언급되는 등 정부의 전폭적인 지지와 지원을 받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사리묵티 매립지 관련 협력을 통해 인도네시아 현지에 청정 수소 생산 거점을 마련함으로써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확산을 선도하고 나아가 지역 단위 에너지 자립 문제와 수소 사회로의 빠른 전환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인도네시아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는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전개 중인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 실증 사업을 해외로 확장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며, 수소 비즈니스 브랜드인 HTWO를 통해 인도네시아 정부 및 기업과 협력해 수소 생산을 확대하고 수소 사회를 더욱 가속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지난 2022년 인도네시아에 아세안 지역 최초의 완성차 생산거점을 구축하고, 아세안 시장 공략을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다.
    • 신재생e
    • 수소
    2025-04-16
  • [유리] 아반스트레이트, 탄소 95% 감축 디스플레이 유리 출시
    베단타 그룹(Vedanta Group) 계열사인 아반스트레이트(AvanStrate Inc., 이하 ‘ASI’)가 Super Green SaiSei® 시리즈 출시를 발표했다. 이 제품은 업계 최초로 재활용 원료 비중이 50%를 넘는 디스플레이 유리 제품으로 탄속 배출량을 95% 감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부상하고 있는 지속가능성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이 제품은 고객의 ESG 목표 달성을 지원할 뿐 아니라, 하이테크 산업 전반에서 지속가능한 기술의 발전을 선도하려는 베단타의 비전에도 부합한다. SGS (Société Générale de Surveillance) 인증을 받은 Super Green SaiSei® 시리즈는 CO2 배출량을 95%(대만 환경보호청 프로토콜 기준)까지 줄일 수 있어, 고성능 디스플레이 유리에서 환경적 영향을 줄이는 요구 사항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획기적인 제품은 기존 제조 공정을 혁신해 발전하는 업계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동시에 지속가능한 목표를 지원하는 아반스트레이트의 역량을 강조한다. 이 제품은 운영 효율성, 혁신적인 프로세스 개발 및 최첨단 R&D에 대한 아반스트레이트의 전문성을 대표한다. · 최소 50% 재활용 유리를 사용해, 평균인 20%보다 재활용 함량을 훨씬 높였다. · 탄소 배출량을 단위 무게당 95% 감축했다. · 현재 널리 사용되는 소재와 비교하여 거의 동일한 속성 및 프로세스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으므로, 고객이 별도의 전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 제조 시 에너지 소비량을 20% 줄이는 동시에, 버진 원료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한다. · 건설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용광로에서 만들어져 RoHS, WEEE 및 기타 글로벌 친환경 제품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또한, Super Green SaiSei® 시리즈는 ISO 14021:2016에 명시된 재활용 함량의 정의를 충족한다는 사실을 SGS 인증을 통해 확인받았다. 이 인증을 획득한 이후 주요 고객들이 친환경적 기능으로 인해 이 제품을 선택하고 있다. Super Green SaiSei® 시리즈는 아반스트레이트의 모그룹인 베단타의 더 큰 ESG 목표를 이루기 위한 또 한 번의 진전이다. 핵심 광물, 기술 및 에너지 분야의 리더인 베단타는 2050년 또는 그 이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베단타는 ESG 우수성 분야의 선구자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으며, 권위 있는 2024년 S&P 글로벌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CSA)에서 248개 금속 및 광업 기업 중 4위를 차지했다.
    • 탄소
    • 산업
    2025-04-15
  • [순환] 모든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 확대 시행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일부 개정령안이 4월 14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어 시행된다. 이에 따라 2026년 1월 1일부터 전기·전자제품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대상 품목이 세탁기, 냉장고 등 기존의 중·대형 가전제품 50종에서 의류건조기, 휴대용선풍기 등 중·소형을 포함한 모든 전기·전자제품으로 확대된다. 다만 감염 우려가 있는 의료기기와 기밀 유지가 필요한 군수품 등은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에서 제외된다. * 제조·수입·판매업자에게 회수·재활용 의무를 부과하여 재활용 촉진 개정령안에 따라 신규 의무업체는 기존에 납부하던 폐기물부담금을 면제받는 대신 재활용의무 추가 이행에 필요한 공제조합 분담금 납부 등을 통해 의무를 이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51억 원*의 의무자 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예상되며 의류건조기, 보조배터리, 휴대용선풍기 등 추가적인 재활용을 통해 철, 알루미늄 등 유가자원을 연간 약 7만 6천 톤**을 회수하여 약 2천억 원 이상의 환경적·경제적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 폐기물부담금 면제(205억 원) > 재활용 의무 추가 이행비용(154억 원) → 연간 51억 원 경감 ** 주요 품목 예상 재활용량(만 톤) : 의류건조기(2.2), 의류케어기기(1.5), 휴대용선풍기(0.02)
    • 정책
    2025-04-14
  • [산불] 3월 경북·경남·울산 산불 366만톤 탄소 배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3월 21일부터 30일까지 경북·경남·울산 등에서 발생한 산불로 약 366만 톤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 이하 ‘톤CO2eq’를 ‘톤’으로 약칭하여 표기 산불이 발생하면 나무의 잎과 가지가 불에 타면서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데, 이러한 배출량은 산불 피해 면적 및 산림의 양을 바탕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이번 산불로 인한 잠정 산불영향구역은 48,239ha로, 산불 발생으로 인해 이산화탄소(CO2) 324.5만 톤, 메탄(CH4) 27.2만 톤, 아산화질소(N2O) 14.3만 톤으로, 총 366만 톤이 배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 (발화지점 기준) 피해면적 (㎥) 온실가스배출량 (tCO2eq) 경북 의성/안동/청송/영덕/양양 5,327,606 3,425,518 경남 산청/하동/김해 230,650 148,302 울산 언양/온양 117,272 75,403 충북 옥천 4,673 3,005 전북 무주 10,972 7,055 합계 5,691,173 3,659,283 이는 현재까지의 잠정 산불영향구역을 바탕으로 추산한 것으로, 산불피해지 조사를 통해 피해 면적과 산림의 양이 증가하면 온실가스 배출량도 늘어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 366만 톤은 2022년 기준 산림에서 흡수한 온실가스 순흡수량 3,987만 톤의 약 9.2%에 해당하며, 이는 중형차 약 3,436만 대가 서울과 부산을 왕복(800km)할 때 배출하는 양과 동일하다. * 산불 배출량 366만 톤 = 중형차 1대당 800km 이동 시 배출량 약 107kg(공공데이터포털) X 3,436만 대 산불이 발생하면 대기 중으로 많은 양의 온실가스가 즉각 배출되므로 산불 예방에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 기후
    2025-04-11
  • [PET컵] 청주지역 스타벅스, 일회용컵 회수‧보상 사업 시행
    청주시와 스타벅스는 4월 10일 ‘맞춤형 일회용컵 회수 및 보상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일회용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배출하는 업종인 커피전문점과 일회용컵 재활용 촉진 방안을 마련한 첫 번째 사례다. 환경부는 지난해(2024년) 10월부터 일회용컵 감량 및 재활용 촉진 정책을 전국으로 확산하기 위해 민간기업, 지자체 등과 현장 수용성을 높인 맞춤형 제도 시행 방안을 논의해 왔다. 이번 협약의 참여 기관들은 일회용컵의 재활용 촉진을 위해 올해 5월 중으로 청주시 스타벅스 전체 매장(28곳)에서 일회용컵 회수·보상제를 시행할 계획이다. 스타벅스는 플라스틱(페트) 재질의 일회용컵 회수를 위해 고객이 청주 시내 28곳의 스타벅스 매장에서 일회용컵 5개를 반납하면, 자체 포인트(에코별) 한 개를 지급하는 보상 제도를 실시한다. 고객들은 스타벅스 포인트(에코별) 12개를 모을 경우 원하는 음료 1잔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다. 청주시는 커피 매장에 회수‧보관된 일회용컵을 정기적으로 별도 수거한 후 재활용업체로 이송하여 버려지는 일회용컵이 없도록 촘촘히 관리한다. 최근 주요 커피전문점 가맹(프랜차이즈) 매장에서 사용하는 일회용컵은 매년 증가하여 연간 21억 개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회용컵이 길거리 또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버려지면 재활용도 어렵다. 회수된 일회용컵은 재활용을 통해 이불솜, 쿠션, 베개, 자동차 내장재 등의 원료가 되는 단(短)섬유로 재탄생된다.
    • 탄소
    • 순환경제
    2025-04-11

기후
더보기

더보기

[산불] 3월 경북·경남·울산 산불 366만톤 탄소 배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3월 21일부터 30일까지 경북·경남·울산 등에서 발생한 산불로 약 366만 톤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 이하 ‘톤CO2eq’를 ‘톤’으로 약칭하여 표기 산불이 발생하면 나무의 잎과 가지가 불에 타면서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데, 이러한 배출량은 산불 피해 면적 및 산림의 양을 바탕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이번 산불로 인한 잠정 산불영향구역은 48,239ha로, 산불 발생으로 인해 이산화탄소(CO2) 324.5만 톤, 메탄(CH4) 27.2만 톤, 아산화질소(N2O) 14.3만 톤으로, 총 366만 톤이 배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 (발화지점 기준) 피해면적 (㎥) 온실가스배출량 (tCO2eq) 경북 의성/안동/청송/영덕/양양 5,327,606 3,425,518 경남 산청/하동/김해 230,650 148,302 울산 언양/온양 117,272 75,403 충북 옥천 4,673 3,005 전북 무주 10,972 7,055 합계 5,691,173 3,659,283 이는 현재까지의 잠정 산불영향구역을 바탕으로 추산한 것으로, 산불피해지 조사를 통해 피해 면적과 산림의 양이 증가하면 온실가스 배출량도 늘어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 366만 톤은 2022년 기준 산림에서 흡수한 온실가스 순흡수량 3,987만 톤의 약 9.2%에 해당하며, 이는 중형차 약 3,436만 대가 서울과 부산을 왕복(800km)할 때 배출하는 양과 동일하다. * 산불 배출량 366만 톤 = 중형차 1대당 800km 이동 시 배출량 약 107kg(공공데이터포털) X 3,436만 대 산불이 발생하면 대기 중으로 많은 양의 온실가스가 즉각 배출되므로 산불 예방에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더보기

[GHG]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개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개요 1. 개념 : 국가가 업체별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배출권)을 설정‧할당하고 배출권 여유 및 부족 업체간 거래를 허용 * 1차(’15~‘17), 2차(’18~‘20) 계획기간을 거쳐 현재 3차(’21~‘25) 계획기간 진행 중 2. 근거 :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12.11월 시행) 3. 대상 : 69개 업종, 684개 업체(사전할당 기준)* →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73.5% *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 12.5만t 이상 업체 또는 2.5만t 이상인 사업장 보유 업체 4. 할당 : 국가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의 연도별 목표를 기준으로 국가의 배출량 중 배출권거래제 비중을 적용하여 배출허용총량 설정 * 3차 계획기간 배출허용총량 : 30억 4,826만톤, 유상할당 비율 : 10%(41개 업종) ㅇ 과거 배출량, 배출효율 등을 기준으로 계획기간 배출권 사전할당, 계획기간 중 신‧증설 등은 추가할당*, 폐쇄 등은 할당취소* * (추가할당) 시설의 신‧증설, 다른 법률에 따른 의무 준수(제약발전) 등(할당취소) 시설의 가동중지‧폐쇄, 할당대상업체의 파산 및 지정취소 등 5. 거래 : 증권시장과 유사한 거래 시스템 구축(운영 : 한국거래소) * (거래량) 566만톤(’15) → 8,994만톤(‘23), (거래가격) 1만원/톤 수준 유지 중 ㅇ 할당대상업체 외에 시장조성자(7개사), 증권사(21개사) 참여 허용(’21~) 6. 정산 : 전년도 배출량 확정(5월) 후 이에 상응하는 배출권 제출(8월) * 배출권 미제출 시 시장가격의 3배 수준의 과징금 부과 ㅇ 감축 유연성 확보를 위해 이월, 차입, 상쇄* 등 업계 이행 지원 * 할당대상업체는 업체의 생산활동 외 영역에서의 감축사업을 통해 발생한 온실가스 감축량을 배출권(상쇄배출권)으로 전환하여 사용 가능(최대 전체 배출량의 5%) [주요 용어] ○ 할당대상업체 : 온실가스 배출량이 일정기준* 이상인 업체 또는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받기 위하여 신청한 업체 *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의 연평균 총량이 125,000톤 이상인 업체이거나 25,000톤 이상인 사업장의 해당 업체 ○ 배출허용총량 : 할당대상업체가 계획기간 동안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총량으로, 배출권거래제에서 관리되는 목표배출량 ○ 배출권 : 배출허용총량 범위 내로 개별 할당대상업체에 할당되는 배출허용량. 온실가스 배출권은 연도별로 설정되어 있으며, 배출권 정산 시 ‘(예)2024년도 배출량’ 만큼 ‘2024년도 배출권’을 제출하여 정산 * KAU(Korean Allowance Unit, 할당배출권) : 할당대상업체에 할당하는 배출권, KCU(Korean Credit Unit, 상쇄배출권) : 외부사업 인증실적에서 전환된 배출권 ○ 계획기간 : 온실가스 배출업체에 배출권을 할당하고 그 이행실적을 관리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기간 (1차 계획기간 ‘15~’17, 2차 계획기간 ‘18~’20, 3차 계획기간 ‘21~’25) ○ 유상할당 : 정부가 배출권을 경매의 형태로 기업에 유상으로 배분하는 방식 ○ 시장안정화예비분 : 배출권 거래시장의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해 배출권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정한 예비분 ○ 탄소누출업종 : 온실가스 다배출업종으로서, 국내 온실가스 규제가 강화될 경우 규제가 약한 타국으로 사업장을 이전할 우려가 있는 업종 ○ 배출효율기준(Benchmark, BM) 할당방식 : 동일·유사한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간의 효율을 비교하여, 우수한 효율을 가진 공정에 유리하도록 배출권을 할당하는 방식 ○ 간접배출 :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나 열을 사용함으로써 배출되는 온실가스 ○ 비용발생도*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로 인한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 * (해당 업종의 기준기간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 × 기준기간의 배출권 평균 시장가격) ÷ 해당 업종의 기준기간 연평균 부가가치 생산액 ○ 탄소집약도* : 에너지 생산이나 경제활동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탄소가 배출되는지 측정하는 지표 * 해당 업종의 기준기간 연평균 온실가스 배출량 ÷ 해당 업종의 기준기간 연평균 부가가치 생산액 ○ 지표 배출권 : 특정 이행연도로 활용 기한이 정해진 배출권 * 예. 2024년 배출권 (KAU 24) 등

더보기

더보기

더보기

더보기

더보기

더보기

비밀번호 :